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과학의 정의, 어원, 분류, 역사 및 철학

by jootopia99 2023. 4. 18.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

 

과학의 정의

과학(科學) 또는 사이언스(Science)는 사물의 구조, 성질, 법칙 등을 관찰 가능한 방법으로 얻어진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의 체계를 말합니다. 미시적으로는 인류가 경험주의와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근거하여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연계에 대한 지식들을 의미합니다. 과학자들은 자연계에서 관찰되는 현상들을 과학적 방법에 따라 자연적인 이론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합니다.

 과학이라는 단어는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경험론에 의하면 과학적 이론은 객관적이고,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하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은 경험적인 결과들이 가능한 한 반론되거나 확인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학의 어원

과학을 뜻하는 영어 단어 science'지식'이라는 뜻의 라틴어 scientia에서 왔으며, 이는 '안다'(I know)는 뜻의 접두사 scio-에서 나왔습니다. 이는 또다시 '분별하다' 혹은 '구분하다'라는 뜻의 인도-유럽 어근에서 나왔으며, 그가 '잘라낸다'(he cuts off)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chyati, '찢다'(to split)라는 뜻의 그리스어 schizein, 같은 뜻의 라틴어 scindere와 관계되어 있습니다. 중세로부터 계몽주의 시대까지, sciencescientia는 모든 종류의 체계적이거나 정확하게 기록된 지식을 가리켰으며, 따라서 그 무렵에 과학이란 철학이라는 단어의 넓은 의미로부터 구별되지 않았습니다.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및 이탈리아어 등의 몇몇 언어에서는 현재까지도 이 구별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고대로부터 근현대까지, 철학은 자연 철학과 윤리 철학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1800년대에 자연 철학이라는 명칭은 서서히 자연 과학이라는 명칭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자연과학은 점차 물리학과 생물학 등의 현재 존재하는 분야들로 세분화되었습니다. 사회과학은 한때 윤리 철학에 포함되던 부분 중 일부를 포함하며, 이 부분에 대해 가능한 한도까지 경험적 방법론을 적용시키고 있습니다.

 

 

과학의 분류

과학은 크게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과학은 인간에 의해 나타나지 않은 모든 자연 현상을 다룹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질학 등이 있습니다.

사회과학은 인간들의 행동과 그들이 이루는 사회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합니다.

인문과학은 인간과 인간의 문화에 관심을 갖거나 인간의 가치와 인간만이 지닌 자기표현 능력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과학적인 연구 방법에 관심을 갖는 분야입니다.

과학은 그 추구하는 바에 따라 크게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으로도 나눌 수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순수과학은 자연을 탐구하여 그것의 작동 원리를 체계화시키는 분야입니다.

응용과학은 순수과학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류의 실용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려 시도하는 분야로서 공학으로 이어집니다.

 

 

과학의 역사

기록된 과학 연구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동북아프리카의 이집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 태생의 미국인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는 그의 책 과학과 기술의 인명 백과사전에서 과학은 고대 아프리카가 현대 세계에 준 선물이라고 말합니다. 이집트의 성직자 임호테프는 처음으로 약을 조제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최초의 대규모 과학 연구소라 할 수 있는데, 유클리드와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을 비롯해 고대의 주요 과학자들 중 많은 수가 여기에서 연구를 했습니다. 이집트의 뒤를 이어, 고대 그리스에서도 많은 과학적 발견들이 이루어졌습니다. 그 이후 이슬람 문화권에서도 과학에 대한 발전이 있었으며, 산업 혁명 후 과학에 대한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또한, 동양에서는 주판을 비롯한 계산기가 발견되고 나침반, 화약 등이 발명되면서 과학이 발전해 나갔습니다.

중세에는 대학 네트워크가 유럽에 설립되었습니다. 1364년에 폴란드에 설립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나, 1386년에 설립된 독일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등이 좋은 본보기입니다.

현대적 의미의 과학은 17세기에 과학적 방법이 정립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학적 방법, 과학 철학 및 과학에 대한 이미지

과학적 방법이란 연역과 귀납의 논리학을 바탕으로 관찰-이론-실험-재현을 바탕으로 한 과학, 즉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통칭한 말입니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검증 가능한 질문에 대해 연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어떤 연구가 과학적이기 위해서는 문제가 정의되어야 하고 연구문제는 기존의 이론이나 결과들과 관련지어 기술되어야 합니다. 또한 연구의 모든 변인과 절차들이 조작적으로 정의되어야 합니다.

과학적 탐구와 과정을 설명하고 형식논리학과 방법론, 형이상학 등의 관점에서 요소들의 타당성을 연구하는 것을 과학철학이라고 합니다. 과학철학은 두 가지 갈래로 나누는데 인식론적 경향과 존재론적 경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과학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 국가의 발전을 좌우할 정도로 여러 가지 분야 중 비중이 있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댓글